하이트 성공사례
마케팅 전략 * 출시년도(1993년도) 기준 자료
하이트의 마케팅 전략
제품 연관성, 이미지, 선호도가 양호하고 신규 맥주 제품의 대명사화 용이한 브랜드 네이밍 필요
당시 사회적 이슈로 인한 환경 관심 고조, ‘물’을 키워드로 한 제품 CONCEPT
제품 고급화 지향에 따른 가격 수준 결정 필요
실제 구매 시 구매의사를 결정하는 요인은 가격보다 품질에 있을 것으로 예측
제품 차별화가 가능하다면 소비자는 어느 정도 경제적 부담을 감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
병 COLOR, 병 모양, 상표 분류, 상표 디자인 등에서 차별화
표적시장 선정 (타겟)
- 연령 : 20대 초반~30대 후반
- 직업 : 직장인, 가정주부, 대학생
CONCEPT
100% 암반천연수로 만든 순수한 맥주
- 맥주보리 껍질을 분리(De-husk 공법)제조하여 만든 부드러운 맥주
- M.C.F. 공법으로 살균하지 않고 효모를 걸러 내어 신선하면서도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고품질 맥주
PACKAGE
맥주업계 최초의 Label 디자인 시도와 그린색을 통해 신선함과 고품질 강조- CONCEPT과 연관되는 그린 색 사용
- 국내 맥주업계 최초의 BACK LABEL 부착
- 국내 맥주업계 최초로 NECK AROUND LABEL 부착
LABEL
국내 식음료 최초 온도기억 문자발현 라벨 부착- 음용최적상태인 7-8℃에서 특수섬유잉크로 인쇄된 100% 암반천연수 상징마크 발현
- 최적 음용상태를 파악, 최적의 맥주맛을 제공
경쟁 제품 비교
하이트의 가격전략- 레귤러 맥주 대비 프리미엄 전략
- 드라이 맥주의 가격 저항감 고려
KEY-POINT
유통채널의 취약점 해결이 신제품의 운명을 결정하는 핵심요소
- 1차 거래선 유통채널을 확장하기 위하여 전담인력 투입
- 2차 거래선(소매점위주) Merchandising을 위한 전담인력 지원
- C.V.S.체인 1차 Target
- 全체인본부의 구매실권자에 대한 Hi-Touch력 제고
시장 세분화를 통한 Cannibalization 현상 최소화
- 유흥용 출고를 지양하고 철저하게 가정용 중심으로
(가정용 당사 M/S가 매우 열악) -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 밀착
신제품 판매 촉진을 위한 PROCESS
-
1단계 CONCEPT 및
POSITIONING COMMUNICATION 단계- 제품 탄생 광고
- 모방불가!
-
2단계 공격적이고 IMPACT 있는 광고 시행
- 소비자 만족도 1위중의 1위 – 하이트맥주
-
3단계 수요확대 및 신선도 제고를 위한 광고
- 마셔보면 다른걸요(인물편)
1차 : 김진영, 박용훈, 오혜원, 유창혁
2차 : 재키림, 여균동, 김행, 이정식
- 마셔보면 다른걸요(인물편)
-
4단계 No.1 Brand로서의 이미지 강화
- 대표맥주 하이트 (대표편)
1차 : 홍명보
2차 : 허재
- 대표맥주 하이트 (대표편)
-
5단계 기업이미지 확대 유지 전략
- 기업PR광고 (물사랑편)
물사랑 하이트
- 기업PR광고 (물사랑편)
-
6단계 경쟁우위 Mult-Spot 전략
- “정선경, 명계남, 박철”을 통한 맥주의 속성인 시원함을 소비자가 만족하여 인지하도록 하는 전략
-
7단계 하이트맥주의 핵심우위 전략 사용
- Concept 1 : 푸른산맥의 암반수로 ‘氣’가 살아있는 시원한 맥주
- Concept 2 : 백두대간 맥주 하이트